[문화칼럼] 시흥문화재단 설립에 앞서…"봄은 어떻게 오는가"

2022.02.26 15:09:44

[글: 이상범/극단 기린 대표] 자연의 계절과 더불어 시흥문화예술에도 봄기운이 완연하다. 시흥문화재단 설립이 목전에 이른 듯하다. 아직 공식적인 발표를 접하지는 못했으나 떠도는 소문을 종합해 보면 시흥문화재단 출범은 기정사실화 된 분위기다. 

사안의 중대성 때문인지 기대와 염려의 목소리 또한 크다. 벌써부터 자리다툼이 시작됐다고도 하고, 문화재단 설립에 대한 회의적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한다. 지극히 당연하다. 자연스럽다. 그만큼 막중하고 매력적이고 어려운 일 아닌가.  

문화재단 설립으로 무엇을 기대할 수 있기에 이토록 설레는 것일까. 문화재단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흥분되는 것일까. 문화재단의 가치 혹은 목적은 ‘시민의 문화복지’라는 표현으로 요약된다. 문화는 복지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필수적 사안이며, 제도화를 통해 이를 보장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이다. 시흥은 때가 늦어도 많이 늦었을 정도로 문화재단은 이미 보편화된 정책이요 제도다. 

시흥문화재단이 설립된다는 것은 시흥에도 장기적인 문화비전이 구축된다는 뜻이다. 시흥의 특성에 기초한 문화정책이 수립된다는 뜻이다. 사업이 전문화, 즉 전문가에 의해 역사성을 가지고 운영된다는 뜻이다. 문화예술 생산자와 수요자 사이에 친밀한 소통구조가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세계 문화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는 뜻이다. 지역 정주의식이 강화되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뜻이다. 한마디로 ‘재미있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현실을 톺아보면 시흥은 문화복지 사각지대에 가깝다. 정책적으로는 장기적으로 체계화된 문화정책을 찾아볼 수가 없다. 하루살이 인생이랄까. 임기응변의 자세로 일관했다. 업무 담당자의 전문성은 구조적으로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문화예술 인프라를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그나마 현재 활용하고 있는 문화예술 공간들은 거의 개조물들이다. 본래 목적을 문화예술에 두고 새롭게 구축된 공간은 전무하다. 맛깔난 음식을 담을 좋은 그릇이 못된다. 비유하자면 깨어진 그릇이다. 목적에 충실한 공간 건축을 외면해 온 탓이다.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외면해 온 탓이다. 

2023년 완공된다는 새로운 예술 공간 하나로는 곧 인구 70, 80만 명을 내다보는 시흥의 문화복지 실현은 언감생심이다. 명맥유지 수준밖에 안 된다. 시흥문화재단 설립의 필연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후발 주자로서 시흥문화재단은 쉽게 가자면 기존 문화재단 따라 하기로 충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시작은 기존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당위를 포함한다. 이미 기존 문화재단의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행정 편의주의, 일반화, 규격화 등 기존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면모를 구축할 것인가. 시흥문화재단만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 이를 위해 얼마나 많은 연구와 창의적 접근이 필요하겠는가. 얼마나 지난한 작업이 될 것인가. 

누구누구가 벌써부터 대표자리를 탐한다고 욕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자리, 역할을 찾는 일은 개인의 권리이며 또한 권장되어야 할 사안이다. 일하겠다는 사람을 나무랄 일 아니다. 다만 자리만 탐하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 되겠다. 

관심과 욕구로 충만한 사람들, 제대로 준비하시라. 공정하게 경쟁하시라. 아무리 제도가 훌륭하고, 틀이 잘 잡히고, 계획이 좋다 해도 운영자에게 문제가 있다면 결과는 뻔하다. 파국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재단 회의론을 제기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 아닐까. 일자리 늘었다, 잡아보자 기대하는 사람들 또한 여럿일 것인데 제발 준비하시라, 공부하시라, 궁리하시라. 문화재단 설립은 결코 일자리 구축사업이 아니다. 문화재단은 시민의 정신적 건강과 영혼의 행복을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다. 

시흥문화재단을 가장 반기고 기대하는 쪽은 아마도 예술 당사자들일 것이다. 어찌 안 그렇겠는가. 그동안 얼마나 외롭고 고독하고 남루한 예술가의 길이었는가. 그러나 예술가들이여 긴장하시라. 스스로의 변화를 각오하시라. 정작 예술가들이 기대하고 있는 창의성 및 자율성 존중, 서비스 마인드는 문화재단에 있어서는 지엽적인 문제일 수 있다. 

문화재단의 사업, 역할은 매우 폭이 넓다. 단순히 예술가만을 상대하는 일이 아니다. 예술가는 그중 일부일 뿐이다. 더군다나 그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행정 전문가다. 한마디로 눈이 높다. 그래서 더욱 엄격할 것이다. 현장에 대한 애정이 큰 만큼 기대감도 높아질 것이다. 

문화재단이라 해서 예술가들에게 무조건 관심과 애정을 표하리라 기대하지 마시라. 예술가에게 문화재단은 양날의 칼이다. ‘예술가로서, 예술가답게, 예술하라’는 엄중한 요청이다. 이끌어 가지 못하면 이끌려 간다. 당연한 이치다. 본을 보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펼쳐 보이고, 신뢰감을 획득하라. 현장과 행정의 건강한 긴장관계야 말로 상호 발전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팽팽한 줄다리기야 말로 예술가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최적의 환경이다. 

시흥의 예술가들이여, 호시절 다 지나갔다. 분연히 일어나 자기 혁명에 나서시라. 나태했다가는 문화재단이 저승사자가 될 것이다. 무덤이 될 것이다.

시흥문화예술의 봄은 오는가. 겨울은 스스로 자리를 내어주는가. 봄은 어떻게 오는가. 봄은 뜨겁게 온다. 몸부림치며 온다. 죽기 살기로 온다. 봄을 기다리는 자들이여 불을 지피시라. 뜨겁게 준비하시라.
시흥타임즈 기자 estnews@naver.com
바른 기자들의 빠른 신문 Copyright @2016 시흥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소: 경기도 시흥시 새재로 11, 201호 (장현동, J-PARK) | 전화: 031-498-4404 | 팩스: 031-498-4403 | 이메일: estnews@naver.com | 등록번호: 경기 아51490(인터넷)/경기 다50513(지면) | 발행·편집인: 우동완 | (주)에스시흥타임즈 법인성립: 2016년 01월 27일 | 신문사 등록일: 2016년 2월16일(지면), 2017년 2월 22일(인터넷) | 구독/후원/광고 납부는 전화 또는 이메일로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