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6.0℃
  • 맑음강릉 8.3℃
  • 박무서울 9.2℃
  • 박무대전 8.0℃
  • 박무대구 8.4℃
  • 박무울산 11.0℃
  • 박무광주 10.7℃
  • 맑음부산 14.5℃
  • 맑음고창 8.3℃
  • 구름많음제주 17.0℃
  • 구름많음강화 6.9℃
  • 구름많음보은 4.5℃
  • 구름많음금산 5.2℃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 선출직 공직자 재산 공개… "대부분 증가"

2023년 경기도 시군의원·공공기관장 재산공개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직자윤리법’ 따라 재산공개 대상자에 대한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을 경기도보와 공직윤리시스템(www.peti.go.kr)을 통해 공개했다.

30일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시흥시를 지역구로 하는 선출직 공직자 대부분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신고 내역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의 재산(부동산, 차량, 선박, 예금, 증권 등 재산에서 채무를 뺀 금액)이다.

우선 ▲임병택 시흥시장의 경우, 종전 5억3990만원이던 재산이 이번 신고에서 6억7900만원으로 1억3천만원 가량 증가했다. 전세금과 차량 등이 늘어난 영향이었다. 

경기도의원 5명의 재산은 모두 증가했다.

재산이 가장 많은 도의원은 ▲김종배 의원으로 종전 46억4300만원에서 53억으로 약 6억6000여 만원이 증가했다. 김 의원은 부동산과 예금, 출자지분에서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장대석 의원이 18억3500만원을 신고했고, ▲이동현 의원이 13억1900만원, ▲안광률 의원 10억940만원, ▲김진경 의원 7억7300만원 순이었다. 

시흥시의원들의 경우엔 16명 중 10명의 재산이 증가했고 나머지 6명(김수연, 김진영, 박소영, 이상훈, 한지숙, 이봉관)은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을 가장 많이 신고한 시의원은 ▲오인열 의원으로 18억1100여 만원을 신고했고 ▲안돈의 의원이 14억4400여 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안 의원은 지난 신고 때보다 4억2100여 만원이 늘어나 가장 큰 폭으로 재산이 증가한 의원에 이름을 올렸다. 

또 ▲이상훈 의원이 8억6700만원, ▲이건섭 의원 8억3000만원, ▲서명범 의원 6억2700만원, ▲김찬심 의원 5억9300만원, ▲윤석경 의원 5억7900만원, ▲김수연 의원 3억7400만원, ▲박춘호 의원 3억5100만원, ▲송미희 의원 3억1300만원, ▲김선옥 의원 3억700만원, ▲성훈창 의원 2억7200만원, ▲김진영 의원 2억6300만원, ▲박소영 의원 2억3800만원, ▲이봉관 의원 1억4300만원, ▲한지숙 의원 3300만원 순으로 재산을 신고했다. 

재산 증가 주요 요인은 전년 대비 공시가격 상승 등 부동산이었고, 급여 및 보험·예금 저축 증가도 있었다. 반면 감소요인은 건물·토지 매각 및 가계 대출에 따른 채무액 증가, 신고재산의 고지 거부 등이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재산공개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 말까지(필요시 3개월 연장 가능)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심사 시 등록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면 공직자윤리법 제8조의 2에 따라 경고, 시정조치, 과태료 처분을 취할 방침이다.

재산등록의무자는 공직자윤리법 제6조에 따라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며,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관할 재산공개대상자의 신고내역을 신고 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직윤리시스템(www.peti.go.kr)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신천동 아파트서 개인정보 유출 의혹… 입주민 불안 확산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입주가 한창인 시흥시 신천동 소재 A아파트에서 입주민과 분양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된 정황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일부 분양자들은 자신이 제공한 적 없는 부동산 중개업소로부터 매물 관련 전화를 받았다며 불편함과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한 분양자는 “매매를 위해 지인 부동산에 매물을 접수한 뒤 며칠 지나지 않아, 전혀 모르는 인근 OO공인중개사무소라며 매물을 달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어떻게 연락처를 알았냐고 물었더니 ‘밝힐 수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며 “이후 연락이 끊겼다”고 덧붙였다. 이 분양자는 “개인정보를 제공한 곳은 은행, 건설사, 입주지원센터, 입주자대표회의, 그리고 직접 의뢰한 중개사무소뿐”이라며 “이름, 주민등록번호, 인감도장, 가족정보까지 모두 제공했기 때문에 어디서 유출됐는지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슷한 피해를 겪은 또 다른 입주예정자도 “정보 출처를 묻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고 전화가 차단됐다”며 “입주 전부터 개인정보가 이렇게 돌아다닌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행위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또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