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난 합법, 넌 불법? ‘불법 현수막 이중잣대’ 논란

[시흥타임즈] 설 명절을 앞두고 각 정당에서 게재한 불법 현수막들이 거리 곳곳에 걸리며 법 적용의 잣대가 모호하단 지적이다.

설 명절을 하루 앞둔 10일 시흥시 신천 사거리를 비롯한 관내 주요 도로엔 어김없이 설 인사를 겸한 정치인들의 현수막이 걸렸다.

그러나 관청에서 신고·허가를 받지 않거나 지정게시대에 게시되지 않은 현수막의 경우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두 불법 현수막에 해당한다.

다만, 정당법 37조엔 정책 홍보물 게시를 보장하고 있는데 이는 선언적인 것에 불과하고 국민투표, 주민투표 등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 아니면 옥외광고물 법에 따라 모두 철거대상에 포함된다.

하지만 정치인들이 거리에 게시한 현수막의 경우 지자체가 철거에 미온적인 반면, 주민들이 공익적 내용으로 게시한 현수막이라 할지라도 법대로 철거하고 있어 형평성에 따른 차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일 정왕동 모 아파트 단지 안에 주민들이 게시한 GTX-C노선 오이도역 유치 현수막이 철거됐다. 

이 같은 사실이 커뮤니티 등을 통해 알려지자 “거리에 정치인들이 게시한 현수막은 몇 개를 달아도 봐주면서 아파트 단지 내에 게시한 현수막은 왜 철거하느냐” 며 모호한 잣대에 대한 항의가 이어졌다.

취재 결과 아파트 단지 안에 붙은 현수막을 철거한 당사자는 해당 지역 주민센터로 분양홍보 등 현수막을 철거하면서 주민들이 걸었던 현수막까지 함께 철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주민센터 관계자는 “골목자치를 하시는 기간제 근로자분이 상업용 현수막을 철거하면서 모르고 그런 것 같다” 며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현수막을 원 위치 시키기로 했다” 고 말했다. 

시 담당부서 관계자도 “그 현수막만 철거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철거 했으면 다 같이 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민들이 게시했던 현수막 철거 사건은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이 사건으로 벌어진 이중잣대 논란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정왕동에 거주하는 A씨는 “만약 아파트 단지내에 정치인들이 걸은 현수막이 있다고 하면 불법이라도 손 대지 않았을 관청이 주민들이 걸었다고 철거를 한다면, 그 기준은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것이냐” 고 되물었다. 

만인에게 공평해야 할 법이 특정층에 두드러지게 예외를 두는 고무줄 행정이 계속되는 한 원칙은 조각나고 이 같은 원성과 형평성 논란은 끊이지 않을 것이다. 

또 아무리 공익적 측면이 강하다 하더라도 비용을 지불하고 합법적으로 현수막을 게시하는 이들이 많고 그들의 정당성을 인정 해야 하는 만큼 이를 무차별적으로 용인 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관계기관은 현실에 맞는 법 적용과 집행 등 옥외광고물 관리에 신중을 기하고 어느선까지 인정할 것인가 하는 사회적 합의의 도출도 수반 돼야 할 것이란 여론이다. 

배너
배너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자칫 당할 뻔한 ‘보이스피싱’, 택시기사의 112 신고가 막았다 [시흥타임즈] 시흥경찰서가 27일,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막은 한 택시 기사에게 표창장과 검거보상금을 수여했다. 경찰에 따르면 택시기사 A씨는 지난 23일 시흥시 장현동 일대에서 ‘신한저축은행’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았다. 상대방은 “4.5% 저금리로 3,500만 원 대환대출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며 기존 자동차 대출금 1,000만 원을 갚도록 유도했다. 잠시 뒤 ‘카드 채권팀’을 사칭한 또 다른 인물이 “계약 위반이니 대출금을 즉시 상환해야 한다. 직원을 보낼 테니 현금을 준비해 시흥시청으로 오라”고 요구하자, A씨는 현금 1,000만 원을 들고 이동하던 중 평소 경찰의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문구를 떠올렸다. “경찰·검찰·금융기관 사칭, 돈 요구·저금리 대환대출 유도전화는 100% 보이스피싱”이라는 내용을 기억한 그는 “이건 보이스피싱이다”라는 확신이 들자 곧바로 112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시흥경찰서 능곡파출소 경찰관과 형사2과 피싱전담팀은 즉시 현장에 출동해 잠복 수사를 벌였으며, 피해자로부터 돈을 받아 가려던 현금수거책 B씨를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위반’ 혐의로 현행범 체포했다. 강은석 시흥경찰서장은 “피해자의 신속한 판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