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기도내 상수도 혜택 못받는 가구 총11만7천 세대

전국 상수도공급률 98.6%
서울, 부산 등 7개 특·광역시 99.9%
경기도내 상수도 공급률 전국평균 밑돌아

(시흥타임즈=홍성인 기자) 경기도내 상수도 혜택을 못받는 가구가 117천여 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국회 함진규의원(새누리당·시흥갑)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내에 상수도 관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수돗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가구가 총 117249세대, 인구로는 총2743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수질이 검증되지 않은 지하수 또는 마을간이 상수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경기도는 정확한 실태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양평군의 경우 전체 세대의 35.0%에 해당하는 17492세대가 수돗물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포천시 역시 전체 세대의 31.4%에 해당하는 21365세대에 상수관 연결이 안되어 있는 상태다.

 

여주시의 경우 14.6%에 해당하는 6995세대에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고양시 1,697세대를 비롯해 성남시 525세대 용인시 5,583세대 화성시 1,311세대 안산시 798세대 등 경기도내 31개 시ㆍ군중 수원시와 부천시를 제외한 전 지역에 걸쳐 상수도 미급수 세대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도는 시ㆍ군별로 숫자만 파악하고 있을 뿐 상수도 미급수 가정의 식수에 대한 조사는 단 한 차례도 실시하지 않고 있어 대책마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급수 취약지역 상수도 보급사업(도비30%, 시군비70%)의 경우 도비 지원액이 2014136천만원에서 20157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 관로 신설도 201430.8km에서 201524.3km 201611.1km로 해마다 줄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의 관로신설도 201449.8km 201536.5km 201628.4km 로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함진규의원은 서울, 부산을 비롯한 광역시의 경우 상수도 보급율이 99.9%에 이르고 있으나 농촌지역은 아직도 보급률이 91.2%에 불과하다상수도 비급수 지역민에 대한 실태조사와 이분들이 음용하고 있는 식수원에 대한 수질 조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코로나19 환자 증가... 시흥시, 예방수칙 강화 당부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병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가 최근 5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지역 주민에게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고위험군과 감염취약시설에는 방역수칙 강화를 당부했다. 최근 진행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대응 관계부처 합동 점검(‘25.8.13.) 결과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발생 동향과 예년 유행 패턴을 고려할 때 8월 중 환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는 한 해에 한두 차례 유행하며 상시 감염병화되는 과정에 있지만, 고령층·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여전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시는 고위험군이 다중 밀폐공간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 발생 시 신속히 진료받을 것을 권고했다. 또한 의료기관,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등 감염취약시설은 종사자와 방문자의 마스크 착용을 유도하고, 실내 환기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예방수칙을 강화해야 한다. 시는 개학 이후 학교 내 단체생활로 인한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에도 대비해 학생 대상 호흡기감염병 예방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형정 시흥시보건소장은 “관내 코로나19 발생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코로나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