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6℃
  • 맑음강릉 17.1℃
  • 박무서울 13.0℃
  • 맑음대전 12.5℃
  • 구름조금대구 11.9℃
  • 구름많음울산 14.8℃
  • 맑음광주 13.5℃
  • 흐림부산 15.2℃
  • 맑음고창 15.1℃
  • 구름많음제주 17.4℃
  • 맑음강화 14.3℃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0.6℃
  • 흐림경주시 14.2℃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 2019년도 경제활력예산 1조 6,010억 확정

“‘복지’ ‘경제’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시흥시 ‘2019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사업예산’이 19일 열린 시흥시의회 제261회 정례회에서 1조 6,010억으로 확정됐다. 

시흥시 2019년도 예산의 규모는 2018년 당초예산 1조 8,121억보다 2,111억원이 감액된 1조 6,010억원으로 편성됐다. 회계별 예산액은 일반회계 9,332억원, 기타특별회계 613억원, 공기업특별회계가 6,064억원이다.

공영개발사업 특별회계가 토지매각 등이 마무리돼 감에 따라 전년대비 2,961억원이 감액되면서 전체적인 예산규모는 감소했지만 일반회계는 전년대비 국·도비사업비가 등 총 824억원이 증액돼 시흥시 살림살이는 9천억원대에 진입하게 됐다. 

시흥시 내년 예산은 시민복지 증진과 시민행복을 위한 경제활력에 집중했다. 시는 어려운 살림살이 속에서도 시민생활 안정을 위한 기초연금에 759억원, 영유아 보육료에 547억원, 시흥형 주거비 지원사업 10억원 등 사회복지분야 사업에 일반회계의 41.68%에 달하는 3,890억원을 투자했다. 

더불어 시민안전 강화를 위한 골목별 CCTV 설치사업에 15억원, 학교 등‧하교 안전지킴이사업에 10억원 등 주민안전강화사업에 141억원을 반영했다.

내년 경제성장률, 고용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예산도 꼼꼼히 챙겼다. 시흥시는 소규모 점포 경영컨설팅 및 시설개선, 스마트팩토리 기반 구축 사업 등 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사업에 384억원을 반영했다. 

특히 자금의 지역내 소비를 통해 지역 소상공‧자영업자의 매출을 증대시킴으로써 자생적인 지역경제활성화를 견인하기 위해 지난 9월 유통을 시작한 지역화폐“시루”유통규모를 올해 2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미래세대를 위한 공교육 강화를 위한 지역연계 공모사업에 26억원, 서울대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관학 협력사업에 22억원 등 343억원을 반영하여 혁신적인 공교육 강화를 도모했다. 

공공청사 및 문화․체육시설 등 기반시설의 지역별 균형적인 투자와 「시흥형 스마트시티」조성 등으로 지속가능한 명품 도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기반시설 투자와 유지관리에 555억원을 편성해 시민들의 생활불편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했다. 

분야별로는 사회복지분야 3,890억원, 수송및교통분야 658억원, 환경보호 556억원, 문화관광분야 436억원, 국토및지역개발 399억원, 교육 343억원, 보건 239억원, 농림해양수산 213억원, 산업‧ 중소기업분야 186억원 등을 편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제조·소부장, 바이오산업과 연계"... 시흥시 새 동력 창출 [시흥타임즈] 시흥산업진흥원이 12일 시흥비즈니스센터 10층 대강당에서 「시흥바이오 소부장 산업 육성 전략 수립」 연구용역의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중간보고회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바이오 기업의 기술 수요 변화 등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전략 수립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시흥시가 보유한 제조·소부장 기반을 바이오산업과 연계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흥바이오 소부장 산업 육성 전략 수립’ 중간보고에서는 연구 수행기관이 ▲시흥시 제조·소부장 산업 기반 분석 ▲바이오 소부장 전환 가능분야 및 전략 품목 도출 ▲글로벌 공급망 변화 ▲향후 시흥바이오 소부장 육성 전략의 비전·목표·추진과제 등을 발표했다. 또한 시흥시 소부장 기업이 정부의 바이오산업 육성 기조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업 참여 가능 분야 ▲공급망 안정화 지원 모델 ▲기업 테스트베드 및 실증 인프라 구축 방향 등을 제시했다. 이에 검토위원들은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며 보완 및 실효성 제고 방안을 함께 논의 했다. 임창주 진흥원장은 “시흥은 정밀기계·전기전자·화학소재 등 강력한 제조 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바이오 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