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3.8℃
  • 맑음강릉 28.5℃
  • 맑음서울 23.2℃
  • 맑음대전 23.4℃
  • 맑음대구 24.4℃
  • 맑음울산 24.7℃
  • 맑음광주 23.6℃
  • 맑음부산 24.8℃
  • 맑음고창 22.7℃
  • 맑음제주 20.0℃
  • 맑음강화 20.4℃
  • 맑음보은 23.0℃
  • 맑음금산 24.1℃
  • 맑음강진군 25.4℃
  • 맑음경주시 25.8℃
  • 맑음거제 23.9℃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배너

문화재청, 세종대왕 애민 정신 담긴 해시계 '앙부일구' 전시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소장 김명준, 경기도 여주시 소재)는 6일부터 내달 28일까지 세종대왕역사문화관에서 '조선 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절기(節氣)와 시간을 동시에 알 수 있는 해시계이자 세종대왕의 자랑스러운 과학 문화재인 앙부일구를 관람객들에게 소개하고자 마련됐다.

 

전시는 총 3부로, 1부는 '평면 해시계의 역사', 2부는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 3부는 '조선 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로 구성됐다.

 

1부 '평면 해시계의 역사'에서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먼저 사용된 평면 해시계에 대한 소개 글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시계인 6∼7세기경의 신라 시대 해시계 '잔편(殘片)', 조선 시대 사용한 휴대용 평면 해시계를 전시하고 있다.

 

2부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에서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의 앙부일구(仰釜日晷)를 선보인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公衆)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종묘와 혜정교(惠政橋, 지금의 서울 종로1가)에 설치했다.

 

세종대왕 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전시장에서는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앙부일구(보물 제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제품을 공개한다.

 

3부 '조선 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에서는 조선 후기 해시계로 대표적인 휴대용 앙부일구가 전시됐다.

 

강윤(1830∼1898)과 동생 강건(1843∼1909)은 조선 후기 해시계 제작 가문으로 유명한데, 강건의 두 아들인 강익수(姜益秀, 1871∼1908)와 강문수(姜文秀, 1878∼1931) 또한, 가문의 시계 제작 전통을 이어 나갔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상아제 휴대용 앙부일구'(세종대왕역사문화관 소장)는 강익수가 만든 것이고, '앙부일구'(서울역사박물관)는 강문수가 제작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시계 제작은 주로 중인 신분이 하는 데 반해, 이들 집안처럼 고위층 양반 가문에서 제작을 주도한 점이 특별하다.

 

이번 '조선 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는 당초 지난달 28일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라 이달 6일로 개최를 변경하게 됐다.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관람 재개 이후 첫 전시인 '조선 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의 안전한 관람을 위해 관람객 마스크 착용, 앞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 전시실 내부 한 방향 관람, 영상실 미운영 등 정부 지침에 따른 안전수칙을 관람객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 관계자는 "이번 전시로 세종대 제작돼 사용된 해시계인 앙부일구와 조선 후기 제작된 휴대용 앙부일구를 관람객들에게 널리 알리는 뜻깊은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

 

출처 : 문화재청 보도자료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대야·신천, 원도심에 '맞춤형 수해 대책' [시흥타임즈] 시흥시 대야ㆍ신천행정복지센터가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해 대야ㆍ신천 원도심 현장에 맞춤형 수해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대야ㆍ신천행정복지센터에서는 시흥시 여름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에 발맞춰 원도심 생활안전을 위한 자체 대응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예기치 못한 집중호우에 대비해 신속한 초기대응을 위해 수방 자재의 현장 배치를 진행했다. 수방 자재 현장 배치 대상지는 시에서 조사된 최근 2년간의 침수 이력을 분석해 총 67곳의 침수 대비 지역을 선정했으며, 지역 상황에 밝은 통장과 협업해 수방 자재를 배치할 적절한 장소를 조사함으로써 민관이 협력해 원도심 생활안전에 총력을 기울였다. 수방 자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침수 대비 지역의 뒤편 잉여 공간이나 수방 자재를 배치할 적절한 공간이 없는 경우 인근 제설함을 활용해 통합 배치하는 등 기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마을 안길 경관을 고려해 선정했다. 이로써 현장에 배치된 수방 자재를 인근 주민과 거주자가 선제적으로 활용해 우수를 차단하고, 침수 피해를 방지하는 등 예기치 못한 집중호우 대응에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기 대야동 안전생활과장은 “이번 수방 자재 현장 배치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