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9.6℃
  • 구름조금강릉 10.3℃
  • 구름많음서울 10.7℃
  • 맑음대전 9.4℃
  • 맑음대구 11.4℃
  • 맑음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10.8℃
  • 맑음제주 13.9℃
  • 맑음강화 9.2℃
  • 맑음보은 9.1℃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11.5℃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ㆍ시흥교육지원청, ‘시흥미래교육포럼’ 개최

전국 최대 규모, 24개 세션 113인의 발표와 강연

[시흥타임즈] 시흥시 시흥교육지원청 및 시흥시의회와 함께 오는 11월 24일부터 12월 1일까지 시흥ABC행복학습타운에서 ‘2023 시흥미래교육포럼’을 개최한다. 

‘전환시대, 함께 가는 시흥교육, 함께 크는 미래 교육’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은 전국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메인 포럼(기획위원회)을 시작으로 분과별 세션과 주간 연계 세션 총 24개 세션으로 진행되며, 지역교육 현안 70개 소주제에 대한 113인의 발표와 강연이 예정돼 있다. 

메인 포럼에서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고자 디지털, 기후환경 등 미래 교육의 중점사항, 교육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K-교육도시 시흥의 방향, 학교와 마을의 동행, 교육과정과 공유공간을 통한 함께 누리는 시흥교육과 관련해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된다. 이후 공동위원장 및 기획위원회 위원의 정책 화답이 이어질 예정이다.

분과세션에서는 ▲K-교육도시분과(교육도시로 가는 길) ▲교육과정분과(미래를 준비하는 2022 개정교육과정과 새롭게 바라보는 학교교육과정) ▲기후환경분과(시흥형 환경교육을 위한 발전방향 제시) ▲이주배경청소년분과(다문화 학생 적응지원을 위한 다면적 지원방안) ▲마을교육자치분과(마을과 학교 함께 성장하고 길을 찾다)가 연계해 진행된다.

아울러 이날, 모두가 함께하는 돌봄 페스티벌, 환경교육 시화호 영상제, 학부모 진로진학 아카데미(변화하는 대입제도의 이해, 미래 채용시장의 변화), 지역 미래교육 콘텐츠 개발 및 지역 교육력 강화 제안(K-교육도시분과 및 미래교육지구 교육부 사업 연계), 서울대 교육협력사업 성과공유회, 2024시흥교육 원클릭 시스템사업 설명회 등이 진행된다.

올해 시흥미래교육포럼은 지역의 교육 현안을 찾아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교육협의체로 539명 15개 분과로 구성돼 1년간 치열하게 교육 공론을 펼쳐왔다. 그간의 치열했던 논의 사항은 이번 시흥미래교육포럼에서 공유한다.

교육에 관심 있는 시흥의 학부모, 학생과 교직원, 마을, 전국의 교육 관계자들은 누구나 포럼에 참여할 수 있다. 2023 시흥미래교육포럼의 참여 신청은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누리집(https://happyedu.siheung.go.kr)의 공지사항’과 ‘시흥교육지원청 누리집(https://goesh.kr)의 공지사항’에서 가능하다. 또한, 링크(https://forms.gle/jeZarD2LzbJwNFoE8)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문의 사항은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031-310-3534) 및 시흥교육지원청(031-488-4567)으로 전화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화호 조성 30주년 앞둔 시흥시, 환경교육 성과 공유 [시흥타임즈] 시흥시 지난 6일 시흥에코센터에서 150여 명의 환경교육공동체(단체), 환경교육 협력기관, 강사, 환경교육위원회와 함께 ‘시흥시 환경교육 성과 공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국가환경교육센터가 발표한 ‘시흥시의 환경교육도시 지정 의미와 지향점’을 시작으로 올해 시흥시의 환경교육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시는 올해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도시’와 ‘환경교육사 양성기관’으로 지정된 데 이어 ‘탄소중립 체험관 개선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9억 8천만 원을 확보했다. 올 한 해 시흥시의 환경교육 성과는 2021년 11월 ‘환경교육도시 시흥’을 선언하며 ‘미래세대가 더 나은 환경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교육도시’로 발돋움하고자, 다양한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협력한 환경교육 활동가(단체)와 함께 이뤄낸 공동의 결실이라 그 의미가 더욱 값지다. 시는 환경교육도시 지정에 따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추진할 ‘환경교육도시 정책 방향 및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전략 수립 간담회를 개최해 ▲지역자원을 활용한 특화프로그램 개발 ▲마을환경교육과정 개발 및 시흥형 에코마을 조성방안 ▲학교 환경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