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카메라 고발] 시흥시 공영주차장 1년 넘게 ‘고장’

주차장 만차인데 안내판엔 “자리 많아”
주차시 색이 바뀌어야 하는 안내등도 대부분 오작동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흥시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안내판이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잘못된 정보를 노출하고 있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30일 오후 시흥시 대야동 상업2 공영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주차면수 안내판엔 1층 16면, 2층 1면, 3층 3면이 남아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주차장 상황을 살펴보면 이 같은 안내는 잘못된 것이다. 이 시간 1층 주차장엔 이미 주차 면수가 꽉 찬 만차 상태였고 다른 층들 역시 안내판의 정보와는 상황이 달랐다.

또 차량이 주차 하게 되면 빨간색으로 색깔이 바뀌는 안내등도 차량이 이미 있는데도 불구하고 녹색으로 켜져 오작동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 같은 고장 또는 오작동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주변 상인들의 말에 따르면 주차장 안내판과 안내등은 이미 1년도 넘게 고장 나 있었다는 증언이다.


따라서 주차 안내판에 자리가 있다는 잘못된 표시를 보고 주차장에 들어섰던 시민들이 차를 돌려 나오는 상황이 되풀이 되고 있다. 

대야 상업2 공영주차장과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대야 상업1 공영주차장의 경우엔 입구 안내판에 남은 주차대수와 주차시 색깔이 바뀌는 안내등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어 대야2 상업 주차장과 대비를 이뤘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대야동 상인 A씨는 “시가 매년 많은 예산을 들여 유지 보수를 한다고 했을텐데 이렇게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오작동 하고 있으니 유지 보수는 하지 않고 돈만 받고 있는거 아닌지 의심스럽다” 며 “사소한 것이라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하여 시흥도시공사 담당자는 “안내판이 오작동되고 있는 사실을 알고 있고 현재 개선 중”이라고만 밝혀 도시공사가 오랜 기간 동안 적극적인 유지 보수에 나서지 않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편, 시흥시 유료 공영주차장은 총 72개소로 시흥시가 시흥도시공사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고 문제가 된 대야 상업2 공영주차장은 4개층 4,670㎡면적에 205면이 유료로 운영중이다. 

시흥도시공사가 시의 예산을 받아 운영하는 공영주차장의 부실이 드러난 만큼 공사가 운영하는 타 시설들에 대한 유지 보수도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흩어져 있던 청년정책 한곳에"... 시흥청년 알리미 운영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지난 5일부터, 그간 흩어져 운영되던 시 청년정책 누리소통망(SNS)을 채널별로 하나로 통합해 공식 명칭 ‘시흥청년 알리미’로 운영을 시작했다. 그동안 시흥시의 청년정책 및 프로그램 소식을 알리기 위해 청년공간별(청년협업마을ㆍ청년스테이션) 누리 소통망을 운영해 왔으나, 정보가 분산돼 청년들이 필요한 소식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는 이에 따라 시는 블로그, 카카오채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플랫폼을 ‘시흥청년 알리미’라는 단일 브랜드로 통합했다. ‘시흥청년 알리미’라는 명칭은 시 청년정책 서포터즈가 제안한 것으로, 청년에게 꼭 필요한 정책과 생활 정보를 알려주는 창구라는 의미를 직관적이고 친근하게 담아냈으며, 시흥시 청년정책의 대표 소통 창구로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앞으로 청년들은 일자리ㆍ창업, 문화ㆍ교육, 복지ㆍ주거 등 청년정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시와의 소통도 더 체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조혜옥 시흥시 평생교육원장은 “청년공간별로 흩어진 홍보 채널을 하나로 묶어 청년들이 더 쉽고 편리하게 정책과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게 됐다”라며 “청년들의 소통과 참여를 더 활성화하겠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