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시흥타임즈의 ‘한계령’

자발적인 구독과 후원을 기다립니다

이런 얘기를 처음 공개 하지만... 신문사의 경영이 매우 어렵습니다. 밤낮으로 다른일도 해가며 뛰었지만 몇 해간 꾸준히 한길만 보고 달려오는 동안 회사와 가계는 피폐해졌습니다. 

신문사는 돈을 벌수 있는 구조가 결코 되지 않습니다.

더구나 저희는 인터넷 기반의 오픈 플랫폼이다 보니 많은 독자들이 기사를 보고 공유하지만 구독료는 내지 않습니다. 혹, 자발적으로 구독하거나 후원하시는 분들이 있긴 하지만 매우 적은 것이 현실입니다. 

자본으로부터 언론이 독립할 수 있길 바라지만, 3일 굶으면 도둑질 안할 사람 없다고 적당히 물러서고 타협하자는 유혹에 왜 흔들리지 않겠습니까. 

“저 산은 내게 오지마라 오지마라 하고...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요즘 제가 자주 들으며 마음 달래는 ‘한계령’입니다. 

현실은 어렵고 지친 어깨를 떠밀지만, 그럼에도 단단히 마음먹고 지역에서 언론을 계속 해보려고 합니다. 

기자에게 무슨 영광이 있는 것도 아니고 부자가 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꼭 해야 될 일이기도 하고 지역에서 여지껏 막내기자로 10여년을 활동하면서 후학이 없다는 절박함도 있습니다. 

지역의 막내, 젊은 언론 시흥타임즈가 흔들리지 않고 바로 설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여러분의 자발적인 구독/후원을 기다립니다. (정기 구독/후원은 5천원부터 가능합니다)

※구독/후원/계좌: 농협 317-4404-4404-81(주)에스시흥타임즈

▶▶이곳을 클릭하시면 정기 구독/후원 신청을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 제가 자주 들으며 마음 달래는 김성록이 부른 '한계령' 입니다. 독자여러분도 들어보세요. 마음이 차분해집니다. 

'한계령'
저 산은 내게 오지마라 오지마라 하고
발 아래 젖은 계곡 첩첩산중
저 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내 가슴을 쓸어내리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능곡고등학교, 일본 ‘요코하마히토리자와’ 고등학교 초청 국제교류 성료 [시흥타임즈] 시흥능곡고등학교(교장 이재선)는 지난 8월 19일부터 22일까지 4일간, 일본 요코하마히토리자와 고등학교 교사 2명과 학생 16명을 초청하여 국제 교류 국내 초청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이번 국제 교류는 시흥능곡고 학생들이 직접 기획과 진행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단순한 방문 행사를 넘어 학생 주도의 문화 교류와 글로벌 역량 함양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참가 학생들은 일본어로 의사소통하며 교류 활동을 주도했고, 상호 존중과 협력 속에서 다문화 감수성과 세계시민의식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교류 기간 동안 진행된 1:1 홈스테이는 양국 학생들에게 서로의 생활 문화를 밀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국어, 수학, 체육,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정규 수업과 더불어 전통공예체험 등의 특별 활동을 함께하며 외국어 소통 능력과 문화적 자긍심을 동시에 높였다. 시흥능곡고는 디지털선도학교로서, 이번 교류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수업, 전통공예와 음악창작 융합 활동, 에듀테크 중심 미래교육 사례를 국제적으로 공유하였다. 교사들은 태블릿과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한 공동 수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