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기자수첩] 4.13 총선, 실종된 ‘서민’을 찾습니다.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국회의원 선거가 2달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예비후보자들의 출마 선언이 잇따르고 있고 자신들의 대표 공약도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흥시 갑, 을 지역을 가리지 않고 예비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들을 보고 있으면 실망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대부분이 “전철역을 더 만들겠다.”, “더 개발하겠다.”, “무엇을 더 유치하겠다.”의 내용들입니다. 

마치 8,90년대 토건제일주의의 대한민국을 보는 느낌입니다. 그들의 공약 속엔 아직 수도권의 변방인 시흥시, 낙후된 이미지의 시흥시를 염두에 두었을 거라 짐작합니다.

그렇습니다. 시흥은 예나 지금이나 낙후된 인프라로 인해 그렇게 살기 좋은 도시가 아닌 건 인정합니다. 그러나 국민의 대표로 나서는 국회의원들의 공약이 어느 한 분야에 머물러서야 국민을 대표한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오늘 정왕본동, 어느 한적한 소공원 앞을 지납니다. 영하의 추운날씨에 한 무리의 아이들이 뛰어놀고 있습니다. 다가가 묻습니다. “추운데 집에 안가니” 한 아이가 대답합니다. “집도 춥고 심심하고 부모님은 밤늦게나 들어오세요.”  추운 집에 살면서 제대로 끼니나 때우는지 의심스러운 이런 아이들이 얼마나 더 있을지 가늠도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지난 2013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2010년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택법에 정해진 최저주거기준 미달 주택, 지하 및 옥탑방, 비닐하우스 등에 거주하는 주거 빈곤 아이들이 총 129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중 시흥시 정왕본동(69.4%)은 전체 아동 중에서 주거 빈곤 아동 비중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다른 지역은 어떻습니까. 조금만 나가면 시장 뒷골목에서 폐지 줍는 노인과 길게 늘어선 택시를 바라보며 한 숨 짓는 택시 노동자를 쉽게 만나고 부당한 해고를 당해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온 어느 직장인과도 마주칩니다. 간혹 외톨이처럼 살아가는 조선족 동포 노인들의 하소연도 듣게 됩니다.

이들에게 다가오는 이번 선거와 그들의 공약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전철역이 더 들어서고 동네가 더 개발되고, 무엇이 더 유치된다고 이들의 삶이 나아질까요.  빈곤에서 탈출할 수 없는 막막한 시대와 마주하고 있지만 국민의 대표를 자처하는 후보들에게 서민을 위한 정책은 생각이 나지도, 보이지도 않는 것 같습니다.

낙후된 도시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은 물론 중요한 일입니다. 그렇지만 대다수가 서민인 시흥시에서 그들의 삶을 돌보는 것은 더 중요한 일입니다. 

시흥시의 투표율이 낮다고 한탄할 일이 아닙니다. 잠시 투표하는 것마저도 사치가 돼버린 사람들에게 가슴에 와 닿는 진실한 공약만이 그들을 투표장으로 나오게 만들 수 있습니다.

*본 기사는 2016년 2월 3일에 발행한 것입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이주배경아동 지원 성과와 향후 과제" [시흥타임즈] 아동복지전문기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지난 9월 29일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서 ‘시흥다어울림아동센터 개소 5주년 기념 세미나’를 열고, 이주배경아동 지원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세미나는 ‘이주배경아동 지원사업이 아동의 성장환경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임병택 시흥시장, 김병산 시흥시교육지원청 교육국장을 비롯해 학계 전문가, 행정 관계자, 교사, 아동 등 11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박현선 교수(세종대학교 사회복지학과)는 센터 프로그램이 아동 발달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고, 이어 노연희 교수(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는 이주배경아동 지원사업이 지역사회에 가져온 사회적 임팩트를 제시했다. 토론은 양경은 교수(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장주영(이민정책연구원 정책연구실장) △박용주(시흥시청 외국인주민과 과장) △이은경(광명광덕초 교장) △이춘양(이음교육 원장) △이민제(배곧초 아동)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와 당사자 의견을 함께 나눴다. 초록우산 황영기 회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확인된 성과와 과제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아동이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