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변곡점 맞은 ‘시의회’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난 24일, 시흥시의회가 공식적으로 열리는 모든 회의를 실시간 생중계 하겠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그간 의회는 역할과 책임이 막중함에도 투명하거나 공개적이지 못했습니다. 시민들은 깜깜이로 진행되어 이미 결정된 사항을 언론 보도나 입소문을 통해 간접적으로 일부만 접해야 했고, 시의원들이 합리적으로 시민의 뜻을 반영했는지, 과정과 절차는 문제가 없었는지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시민의 상식으로 봤을 때 왜 저런 것에 동의해줬는지, 왜 저런 것에 예산을 낭비하는지 의문은 의혹을 낳았고 결국 소문만 무성한 이상한 사업이 셀 수도 없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이미 시대정신은 투명한 소통을 통한 진실추구에 와 있지만 유독 지역에선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반영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하기 싫었던 것입니다. 

시의원들은 자신들의 발언이 실시간으로 공개되는 것이 불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시민들이 지역구 시의원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현실에서 분명 긍정적인 효과도 있으리라고 봅니다.

회의 모습을 공개하기로 결정하면서 의회는 변곡점을 맞았습니다. 동네 골목길 보도블록이 왜 해마다 교체되는지, 예산을 삭감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행정은 왜 이런 사업을 하는지 등등 이제 수많은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냉정히 평가 받고 때로는 비판 받아야 할 것입니다. 

회의 공개는 시 행정부나 의원들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시민의 알권리 충족은 물론 건전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 굳게 믿습니다.

시민들의 권한을 위임받은 의회가 진정으로 시민의 뜻을 반영하는지 이제 같이 지켜볼 수 있길 기대합니다. 

의회는 회의 공개 결정을 내린 이상 미루지 말고 어느 곳 보다도 투명하고 앞서는 의회가 되도록 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회의 공개를 결정한 여.야 시의원들에게 여러 시민들과 함께 박수를 보냅니다. 

관련기사: 시흥시의회, 공식회의 실시간 인터넷 중계 추진
http://www.shtimes.kr/news/article.html?no=6330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조정식 의원, "시흥배곧서울대병원 차질 없는 완공 최선" [시흥타임즈] 조정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시흥을)은 지난 29일‘시흥배곧서울대학교병원’ 착공식이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밝혔다. 총사업비 5,872억 원(국비 2,672억 원·병원 3,200억 원)이 투입되는 시흥배곧서울대병원은 지하 1층, 지상 12층, 800병상 규모의 미래형 병원으로 조성되며, 오는 2029년 상반기 개원을 목표로 본격 추진된다. 특히 시흥배곧서울대병원은 ▲27개 일반진료과 ▲6개의 전문진료센터를 갖춘 최첨단 대학병원으로, 암센터심뇌혈관센터응급의료센터 등을 통해 경기 서남부권의 중증질환 치료를 책임지게 된다. 앞으로 시흥관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직접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원 개원과 함께 약 1,600명의 신규 일자리(의사 500명간호사 1,100명)가 창출되어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배곧서울대병원은 단순한 진료기관을 넘어 연구중심병원으로서 신약 개발과 첨단 의료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시흥바이오특화단지와 연계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의료·바이오 도시 시흥으로 도약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정식 의원은 이번 착공식에서“시흥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는 도약이 이제 시작되었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