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6.1℃
  • 맑음강릉 13.0℃
  • 맑음서울 7.1℃
  • 맑음대전 7.9℃
  • 맑음대구 9.2℃
  • 맑음울산 13.0℃
  • 구름조금광주 8.3℃
  • 맑음부산 12.5℃
  • 맑음고창 9.3℃
  • 구름많음제주 13.1℃
  • 맑음강화 6.1℃
  • 맑음보은 7.1℃
  • 맑음금산 8.4℃
  • 구름많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2.0℃
  • 맑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되짚어봐야 할 '아쉬움'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간이 화살과 같다더니 민선 7기가 출범한지 벌써 3년이 지났습니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지난 1일 3주년 맞이 기자회견을 열어 그간 이뤄낸 성과와 다가올 미래 비전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임 시장은 이날 유튜브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서울대병원과 웨이브파크, K-골든코스트를 주요하게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교육도시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칭찬 받을 만한 진취적인 이야기들이고, 누군가에겐 희망이 되었을 겁니다.

그러나, 노후하고 쇠락해가는 북부권역을 비롯한 구도심에 대한 위로나 미래 발전상이 없었다는 것과 최근 복지사각지대에서 발생한 노부부 죽음에 따른 제도 개선 계획 등의 언급이 없었다는 것은 못내 아쉽습니다. 

시흥 남부권역에 집중된 새로운 시설들과 그에 따른 환상은 시의 이미지 쇄신과 발전을 견인함과 동시에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을만 합니다. 

하지만 장밋빛 청사진에 가려진 기존 구도심의 고통은 더 심각해지고 있고 상대적인 박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신도심이 들어서면서 벌어진 격차는 높이 올라간 아파트 층수만큼이나 큰 상황입니다.

신도심이 들어오기 이전부터 시흥을 지탱하며 살아온 이들에 대한 배려는 예전만 못합니다. 주차난, 편의시설, 상하수도, 복지 등등 다 헤아리지도 못하는 불편속에서도 구도심 사람들은 참고 버티고 있습니다. 

구도심이 정치적 고향인 임 시장은 누구보다 이런것들에 대해 잘 알고 있으리라 짐작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지난 성과와 시흥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하는 동안 구도심과 약자에 대한 언급이 별로 없었다는 것에 실망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그날 말을 하지 않았을 뿐 이것들에 대한 고민이 깊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19로 인해 도시정비에 쓰여 할 예산이 다른곳으로 빨려들어 갔다는 것도 인정합니다. 본인도 안타깝다고 했으니까요.

단지, 취임 3주년을 맞아 치적에 대한 자화자찬 보단 약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계획과 메시지가 더 많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치가들이 정치 활동을 공동체에 대한 봉사로 여기지 않을 때, 정치는 억압과 소외와 심지어 파괴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자신을 내려놓고 두루 살핀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모든 정치인이 가져야 할 기본이기도 합니다. 

언제부터인지 집 없는 사람, 돈 없는 사람, 노후한 구도심에 사는 약자들에 대한 언급은 줄어들고 신도심을 위주로한 시설 유치와 거대 자본들의 소식만을 자랑하는 사회 분위기가 과연 공동체를 위한 유일한 방향인지 되짚어봐야 합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시흥시 노인 일자리 등 참여자 6053명 모집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2024년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할 어르신 6,053명을 오는 6일부터 15일까지 모집한다. 이 사업은 어르신들의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소득 보충과 건강 증진을 통해 노인 문제를 예방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의 모집 유형은 ‘공익활동,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 알선형’ 등 4가지로 나뉜다. 먼저 4,427명을 선발하는 ‘공익활동’은 지역사회 공익 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봉사활동으로 65세 이상 근로 능력이 있는 기초연금 수급자가 참여할 수 있다. ‘등하교 안전지킴이’를 비롯해 환경을 생각하는 ‘자원 재사용 지원단’과 ‘실버그린 실천단’, ‘폐의약품 수거단’ 사업에서 참여자를 모집한다. 65세 이상(일부 60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형’은 876명을 모집하고, 월 60시간 활동하면 최대 76만 원의 활동비를 받을 수 있다. 치매 노인의 안부를 확인하고 말벗을 해주는 ‘시니어치매서포터즈’와 각종 설문조사 등의 업무를 진행하는 ‘시니어 설문조사 사업단’ , 각종 사회복지시설 등에 파견돼 근무하는 사업이 있다. 60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