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5.5℃
  • 구름많음강릉 24.3℃
  • 흐림서울 27.2℃
  • 구름조금대전 28.4℃
  • 흐림대구 27.3℃
  • 구름조금울산 24.9℃
  • 구름많음광주 28.0℃
  • 구름조금부산 26.2℃
  • 구름많음고창 27.0℃
  • 맑음제주 28.8℃
  • 흐림강화 25.5℃
  • 구름많음보은 25.7℃
  • 구름많음금산 26.4℃
  • 맑음강진군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1℃
  • 맑음거제 25.9℃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설득하고, 목소리는 낮춰야한다"

반대를 대하는 태도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민주주의의 실현은 참으로 시끄럽고, 힘든 과정이다. 민주주의에 핵심 중 하나는 ‘반대’할 수 있는 자유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는 지난 암울했던 역사에서 이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견해나 추진하는 정책에 반대 의견이 나오면 짜증내고 싫어하는 것은 그저 불편한 것을 방어하려 하는 인간의 본성 때문일 것이다.

얼마 전 유튜브로 생중계된 시흥시의회 임시회가 화제가 되었다. 밤 늦게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의회는 시 집행부가 제출한 조직개편안(2국 9과 증설)에 제동을 걸었다. 

의회는 외국인주민과 등 두 개 부서의 신설이 '시기상조'라는 이유 등을 들어 반대, 결국 2국 7과로 축소 개편을 앞두고 있다.

그간 시 집행부의 조직개편이나 인사와 관련하여 시 의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온 적은 드물다. 

그래서일까, 시 집행부는 “월권 아니냐”며 “당혹스럽다”는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문제를 가만히 놓고 보면 의회의 반대가 본질적으로 크게 잘못됐다고 볼 수는 없다. 의원이 지적하는 부분이 지적할 만한 ‘공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민주주의는 좀 불편하더라도 의견의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것이 의회의 존재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시 집행부가 제출한 의견이 당연히 통과 되리라는 믿음은 좋지 않다. 어느 부분에서든 반대가 있을 수 있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어떻게 설득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집행부는 치밀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다. 

‘월드워Z’ 라는 영화를 보면 이스라엘의 의사결정 시스템이 잠깐 나온다. 

중요한 사안을 결정하는 10명이 있는 기구에서 설사 9명이 ‘동의’하더라고 마지막 열 번째 사람은 의무적으로 다른 의견을 제시해 ‘반대’ 해야 한다는 이른바 'The Tenth Man'이다.

모두가 동의하는 순간이 가장 위험한 순간이라는 뼈아픈 교훈을 얻은 이스라엘이 만든 ‘의무적 반대’ 제도다.

공무원이 보는 시각과 시민이 보는 시각, 그리고 의원이 보는 시각은 엄연히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반대는 있을 수 있고 그 반대로 말미암아 더 단단하게 계획을 세우고 더 좋은 정책을 펼칠 수 있다면 이보다 좋은 반대가 또 있을까 생각해본다. 

그리고... 반대하는 사람도 합리적 논리를 갖춘 '본질적'인 문제제기와 지성인에 걸 맞는 교양 있는 단어로 지적해야 할 것이다.

아무리 올바른 지적이라 하더라도 감정적으로 거칠거나 인격 모독적인 언행은 결국 본질을 호도시켜 “이유 없이 반대만 일삼는 자” 또는 “저 인간 왜 저래”가 돼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동의하는 순간이 가장 위험한 순간이라는 것을 잊지 말고 상호간에 이를 대하는 태도를 바꿔야한다.

“설득하고, 목소리는 낮춰야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전 직원 대상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 상영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지난 8월 29일과 9월 1일 이틀에 걸쳐 전 직원을 대상으로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를 상영했다. 황윤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는 간척사업으로 사라져가는 갯벌을 살리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을 담은 작품이다. 감독은 말라가는 갯벌에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은 도요새와 검은머리갈매기, 흰발농게를 통해 희망을 이야기한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분에서 처음 상영됐고, 서울독립영화제 장편 경쟁 부분에서는 관객상을 받았다. 사람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의 모습과 그로 인해 변해가는 주변의 삶, 이를 복원하려는 또 다른 사람들의 노력까지. 영화가 보여주는 현실은 시흥시를 둘러싼 시화호의 지난날과 똑 닮아있다. 1987년, 농어촌진흥공사가 당시 바다였던 시화호 지역에 방조제를 설치해 간척사업을 진행했다. 1994년 방조제가 준공되고 바닷물이 차단되면서 주변 오폐수 등이 그대로 축적된 시화호는 환경오염의 대명사로 일컬어졌다. 시화호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된 이후, 정부는 담수화 계획을 포기하고 해수 순환을 시작했다. 현재 시화호는 이전 생태환경을 99.9% 회복한 상태다.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수리부엉이, 노랑부리저어새 등 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