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6.6℃
  • 흐림강릉 19.1℃
  • 서울 19.4℃
  • 흐림대전 17.9℃
  • 흐림대구 20.2℃
  • 흐림울산 20.2℃
  • 흐림광주 19.9℃
  • 흐림부산 22.7℃
  • 흐림고창 17.1℃
  • 구름조금제주 21.0℃
  • 흐림강화 17.4℃
  • 흐림보은 16.9℃
  • 흐림금산 17.0℃
  • 흐림강진군 19.3℃
  • 흐림경주시 19.9℃
  • 흐림거제 20.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반복되는 반지하 침수, 이젠 끝내야 한다.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난 8일과 9일 양일간 시흥시 전역엔 평균 275mm로의 폭우가 쏟아졌고, 신천동은 시간당 최대 81mm의 물폭탄이 떨어졌다. 

이로 인해 10일 기준으로 시흥시 전체에서 182건의 주택침수, 108건의 도로와 농지침수가 발생했고 특히 신천동의 경우 주택 107가구가 침수돼 피해가 집중됐다. 

5년전인 지난 2017년 7월에도 신천동과 대야동 일원엔 시간당 96mm의 폭우가 쏟아지며 관내 전체에서 주택 410여채(신천동 294채)가 침수됐었다. 

5년이 흐른 지금, 운이 좋았던 것인지 침수된 주택의 수가 조금 줄어들었다는 것 이외엔 달라진 것이 없었다. 

여전히 폭우가 쏟아지면 해당 지역 반지하 거주자들은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며 언제 물이 차오를지 모를 공포와 두려움을 마주하고 있다.

지난 10일 찾은 침수지역은 곳곳에 물에 젖은 가재도구가 나와있었고, 아직까지 물이 빠지지 않은 주택에선 연신 물을 퍼내고 있었다. 

각종 오수와 하수가 뒤섞여 차오른 물을 퍼내는 모습에서 참담함이 느껴진다. 

현장에서 만난 김 모씨는 “지난번에도 침수를 겪어 나름대로 대비를 했지만 역부족 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물이 급속도로 차오르는데 이웃주민들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큰일 날 뻔 했다”고 말했다. 

물이 차오르던 당시, 이들에게 힘이 되어준 것은 정부도 지자체도 아닌 ‘이웃’이었다. 대부분이 반지하에 거주하는 저소득층들인 이들에게 언제까지 이웃과 힘을 합쳐 자력으로 살아남으라고만 할텐가.

폭우로 드러난 재난의 모습은 늙고 힘없고 가난한 이들에게 고통을 더하는 ‘불평등’ 그 자체다. 반복되는 재난을 목도하며 위정자들은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답답할 따름이다.

또 다시 폭우가 내리지 않게 해달라고 빌기만 할 것인가. 

큰 아픔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그간의 정비가 제대로 이뤄졌었는지, 잘못 조치된 사안은 없었는지, 말로만 대책을 세우겠다하지 말고 전체적인 재난 시스템을 돌아보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길 바란다. 

외신들은 반지하 (banjiha)를 고유명사처럼 쓰면서 한국의 폭우 피해 상황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영화 기생충 속 폭우 장면보다 더 최악이다"

영화보다 더 최악인 상황, 이젠 끝내야 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임병택 시흥시장, "한중 문화교류 협력 활성화" 약속 [시흥타임즈] 임병택 시흥시장이 27일 시청 다슬방에서 ‘한중 문화교류 간담회’를 열고, 주한 중국 중홍눠(钟洪糯) 총영사와 취환(曲欢) (사)한중문화우호협회장을 만났다. 이날 간담회에는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밍카이 부 총영사, 지앙위칭 부 영사, 조은옥 전 경기도교육청 평화연수원장 등 관계자 15명이 참석했다. 양측은 지방정부의 역할과 상호 협력 방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며, 상호 간 문화ㆍ경제 등의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찾는 데 힘을 모았다. 간담회 자리에서 임병택 시장은 “1992년 수교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온 한중관계는 다양한 교류와 소통을 통해 전 세계가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특히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발전을 도모하고, 깊이 있는 문화교류를 추진함으로써 더욱 돈독한 한중 우호 관계를 이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흥시는 대한민국에서 3번째로 이주 배경 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로, 이주 배경 주민들이 존중받으며, 시흥시에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끊임없이 고민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거북섬 등 풍부한 관광자원을 갖춘 문화ㆍ관광도시인 시흥시가 다양한 정책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