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2℃
  • 맑음강릉 6.8℃
  • 흐림서울 2.6℃
  • 흐림대전 2.4℃
  • 맑음대구 1.8℃
  • 맑음울산 1.9℃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4.6℃
  • 흐림고창 2.0℃
  • 구름조금제주 11.2℃
  • 맑음강화 1.4℃
  • 흐림보은 -2.5℃
  • 흐림금산 0.1℃
  • 맑음강진군 2.1℃
  • 맑음경주시 -1.7℃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빼앗긴 놀이터’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시흥타임즈=우동완 편집장] 구도심에 산다는 불편중 하나가 주차문제입니다. 조금 늦게 퇴근하면 아파트단지는 물론 인근 이면도로까지 차들로 꽉 차있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래서일까. 언제부턴가 구도심 아파트단지들은 어린이 놀이터를 없애고 그 자리에 주차장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은행동 구도심 아파트 단지를 둘러보면 어린이 놀이터가 단 한군데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어른들은 차 몇 대를 더 댈 수 있는 공간이 나왔다고 좋아합니다. 관리주체도 비용만 들어가는 놀이터가 사라져 속 시원해 합니다. 어른의 입장에서 보면 더 좋아진 환경. 그러나 어린이들의 입장에선 자신들의 공간을 강탈당한 상황.

2년 전 이문제로 취재를 나섰을 때 한 아이는 “어린이가 줄어들어서 없애는 거라고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린이가 다시 늘어나면 또 만들어 주냐”고 되물었습니다. 참을 수 없는 부끄러움에 그냥 웃으며 돌아섰던 씁쓸한 기억이 선명합니다. 

더 가슴 아픈 것은 놀이터의 양극화 입니다. 단지가 크거나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아파트는 놀이터를 유지보수 해가며 운영하고 있지만 작고 소득이 낮은 단지의 아파트들은 여지없이 놀이터를 주차장으로 바꾸고 있는 현실.

강화된 놀이터 안전기준에 맞춰 유지하자니 속 편하게 주차장으로 전용해버리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주차난도 심한데 애들 몇 명 좋자고 돈을 써” 라고 하던 한 아파트 단지 관리인의 말이 전혀 이해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라고 말하면서, 꿈이라고 말하면서, 정작 어른들이 양보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과 그 작은 공간하나 지켜주지 못한 것에 대한 미안함에 자괴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입니다. 

최근 시흥시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주창하고 나왔습니다. 저출산 인구절벽의 시대를 맞아 지자체가 마땅히 해야 할 정책적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어른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일에 앞서 주체인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도시’가 먼저 돼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어른들이 자신들의 공간을 강탈해도 아무 말 못하는 아이들에겐 눈감은 채, 어른 중심에 서서 아이를 맡길 공간을 늘리고 출산 지원을 늘려봐야 이곳에 사는 아이들은 행복할리 없습니다. 

오늘도 옆 단지 아파트 놀이터 주변을 기웃거리는 몇 명의 아이들이 더 있을지 모릅니다. 이 아이들이 위험한 도로나 공사장, 피씨방 같은 곳으로 발을 돌리지 않도록 잘 살펴야합니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시흥’을 지지하고 그 미래를 꿈꿔봅니다. 그렇지만 그에 앞서 그들의 공간을 빼앗는 것이, 또 그 행위에 적당히 눈감은 것이 정말 최선이었는지 반성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세워줘야 합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고, 내 아이가 행복하려면 내 아이의 친구도 행복해야한다” 이 말의 뜻이 무엇인지 시흥의 어른들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민주노동자 시흥연대, “노동전담부서 신설하라”… 시흥시에 강력 촉구 [시흥타임즈] 민주노동자 시흥연대가 시흥시와 시흥시의회에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지난 18일 시흥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흥에는 25만 명의 노동자가 있지만 노동정책은 여전히 기업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노동자를 직접 지원하는 행정체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자 시흥연대는 특히 시흥시가 최근 재입법예고한 「시흥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서 당초 포함됐던 ‘노동지원과’ 신설안이 삭제된 데 대해 “노동자의 현실과 시민 요구를 외면한 행정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시흥시는 전국 평균보다 긴 근로시간(주 39.5시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임금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314.9만 원에 머무는 등, 노동환경이 열악한 산업도시로 꼽힌다. 영세사업장이 많은 탓에 산재 위험 역시 높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노동계는 “기업지원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시흥시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통해 노동정책·산업안전·노사협력 등 전반에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흥시는 지난 10월 23일 공개한 입법예고안에서 경제국 내 ‘노동지원과’ 신설을 포함해 노동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