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기자수첩] “뭣이 중헌디”

시장 근처 한 가게를 바라봅니다. 주인은 날이 덥고 다리도 아프지만 문을 닫을 수도 앉아 있을 수도 없습니다. 

쉬는 날 없이 하루 종일 가게에서 일하는 자영업자들이 참 많습니다. 근래 들어선 대기업 위주의 프랜차이즈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서민 경제가 침체되면서 이들의 삶은 더 궁핍해졌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2013년 기준 자영업자 평균연봉은 2072만원. 월로 치면 172만6천원, 하루로 치면 5만6700원 입니다.

차 떼고 포 떼면 이마저도 가져가지 못하는 자영업자들이 수두룩합니다. 2015년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281만원으로 자영업자보단 좀 나은 수준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뽑은 시흥시 시의원들의 연봉은 얼마일까요. 아직도 시의원들이 월급 없는 봉사직으로 아는 시민들이 꽤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2006년부턴 의원유급제가 시행돼 시민이 낸 세금으로 월급을 받아가며 일하고 있습니다. 

시의원들은 월정수당과 의정활동비를 합친 금액을 매월 지급받습니다. 의장과 부의장, 상임위 위원장의 경우엔 조금 더 받는다고 합니다.

2016년 기준 시의원 1인이 받는 기본 연봉은 4378만8천원. 그러니깐 월 364만9천원, 일로 치면 11만9967원을 받습니다. 시의원이 12명이니 이들에게 매년 약 5억2536만원의 세금이 지출되는 셈입니다.

관련해서 자료를 보니 지난 2008년부터 2014년까진 경기침체 등으로 의정비가 동결됐고 2015년부턴 계속 올랐습니다. 이번 7대 의회에 들어서선 의원들의 연봉이 계속 올랐단 얘깁니다. 

그런데 뜬금없이 월급 얘기를 하는 이유가 사실 여기에 있습니다. 지난 20일 열린 제237회 시흥시의회 임시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정족수 미달로 개최되지 못하고 자동산회 되었습니다. 

후반기 의장 선출에 불만을 품은 도시환경위원회 소속 3명의 의원이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의장 선출을 둘러싸고 “야합을 했다”, “해당행위를 했다” 무성한 말들이 참 많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쨌든 자신들의 자리싸움에서 비롯된 일들입니다. 

또 본인들이 드러낸 정치력의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이를 문제 삼아 의회에 출석하지 않는 것은 시민을 기만하는 행위입니다. 

의원들은 매일 의회에 출근 하진 않습니다. 의회에 정해진 회의 일정은 1년 365일 중 정례회 2회와 임시회 8회를 합쳐 총 90일 남짓입니다. 혹자는 의원들이 화가 나서 회의에 며칠 빠질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대부분의 서민들은 단돈 몇 푼을 벌기 위해 무더위와 싸워가며 쉬지도 못하고 일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말합니다. 지난 선거 때 ‘오직 시민을 위해.’라고 했지 않았냐고. 돈 받은 만큼 일은 하냐고. 당선된 자기 지역구에 살기나 하냐고...

지난 선거 때의 모습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합니다. 한 표 달라며 허리 굽혔던 그 낮았던 모습들은 다 어디 갔습니까. 그때가 진심이었다면 지금 이렇게 할 순 없습니다. 

시민 말고 도대체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그날 자신들을 선출해줬던 시민들이 지금 묻고 있습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산진원이 지원한 스타트업 '엘피텍' 해외 진출 [시흥타임즈] 시흥산업진흥원 시흥창업센터에 입주한 ㈜엘피텍이 ‘티칭리스(Teaching-less) 그리퍼’ 기술의 해외 수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9월 23일 「2025년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엘피텍은 2023년 시흥창업센터에 입주한 로봇 전문 스타트업으로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도 다양한 제품을 자동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 그리퍼를 개발해왔으며, 시흥산업진흥원은 제품 개발 초기부터 기술 검증, 시제품 제작 등 기술지원과 더불어 해외전시회 참가지원을 통한 수출판로 개척지원으로 기업의 성장을 적극 뒷받침했다. 그 결과 불과 2년 만에 기술 완성도와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아 아시아 및 유럽 시장으로의 첫 수출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이러한 성과는 국내 창업 지원기관과 기술 스타트업의 우수 사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엘피텍 박형순 대표는 “시흥산업진흥원의 체계적인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과 현장 중심의 멘토링이 해외 진출의 발판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한국 로봇 기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임창주 시흥산업진흥원장은 “앞으로도 기술기반 스타트업의 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