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2℃
  • 맑음강릉 6.4℃
  • 맑음서울 3.2℃
  • 맑음대전 3.0℃
  • 맑음대구 3.7℃
  • 맑음울산 4.4℃
  • 구름많음광주 6.4℃
  • 맑음부산 7.3℃
  • 흐림고창 4.9℃
  • 제주 10.0℃
  • 맑음강화 0.0℃
  • 맑음보은 0.7℃
  • 맑음금산 1.9℃
  • 흐림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거리두기 17일까지 연장…학원 동 시간 교습 9명 이하인 경우 허용

[시흥타임즈] 정부가 3일 종료되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와 비수도권 2단계 조치를 2주간 더 연장하기로 했다. 

또 수도권에만 적용하던 5명 이상 사적 모임 금지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학원이나 겨울 스포츠 등 제한조치는 일부 완화했다. 

관련하여 시흥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거리두기 2.5단계와 겨울철 특별방역대책이 4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연장된다고 밝혔다. 

야외스크린골프장 집합금지 등 일부 수칙은 강화하고, 실외겨울스포츠시설이나 9인 이하 학원ㆍ교습소는 시간ㆍ인원 제한 하에 운영하는 등 일부 조치를 보완했다.

시는 임시선별진료소(시흥시보건소, 정왕보건지소)는 운영을 2주 연장시키고, 요양병원ㆍ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선제적 검사 등 방역조치는 강화한다. 

시 관계자는 "시민여러분께서는 가족, 친구, 지인과의 모임을 취소해 주시고, 집에 머무르며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에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모임ㆍ행사
-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에 5명 이상 예약 및 동반입장 금지
- 결혼식ㆍ장례식ㆍ기념식 등 50인 이상 모임ㆍ행사 금지
- 전시ㆍ박람회, 국제회의의 경우, 시설 면적 16㎡당 1명으로 인원 제한

▲다중이용시설
- 집합금지 시설(유흥시설 5종/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노래연습장/실내 스탠딩공연장/실내체육시설/홀덤펍/야외스크린골프장(밀폐형)/파티룸/아파트 내 편의시설)
- 실외겨울스포츠시설(스키장, 빙상장, 눈썰매장) 21시~익일 05시 운영중단, 수용인원 1/3으로 인원제한, 부대시설 집합금지 및 취식 금지 등 방역조치 강화
- 학원ㆍ교습소 원칙적으로 집합금지(동시간대 교습인원이 9인 이하인 학원ㆍ교습소/2021년도 대학입시를 위한 교습/고용노동부 장관과 위탁계약을 하거나 과정 인정을 받은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은 제외)
- 21시~익일 05시까지 운영 중단(영화관/PC방/오락실ㆍ멀티방/독서실ㆍ스터디카페/놀이공원ㆍ워터파크/이ㆍ미용업/백화점ㆍ대형마트) *좌석 간 거리 두기 등 개별 방역조치 유지
- 숙박시설 객실 수의 2/3 이내로 예약 제한, 객실 내 정원 초과 인원 수용 금지, 파티를 위한 객실 운영 금지 등 방역조치 강화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민주노동자 시흥연대, “노동전담부서 신설하라”… 시흥시에 강력 촉구 [시흥타임즈] 민주노동자 시흥연대가 시흥시와 시흥시의회에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지난 18일 시흥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흥에는 25만 명의 노동자가 있지만 노동정책은 여전히 기업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노동자를 직접 지원하는 행정체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자 시흥연대는 특히 시흥시가 최근 재입법예고한 「시흥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서 당초 포함됐던 ‘노동지원과’ 신설안이 삭제된 데 대해 “노동자의 현실과 시민 요구를 외면한 행정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시흥시는 전국 평균보다 긴 근로시간(주 39.5시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임금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314.9만 원에 머무는 등, 노동환경이 열악한 산업도시로 꼽힌다. 영세사업장이 많은 탓에 산재 위험 역시 높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노동계는 “기업지원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시흥시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통해 노동정책·산업안전·노사협력 등 전반에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흥시는 지난 10월 23일 공개한 입법예고안에서 경제국 내 ‘노동지원과’ 신설을 포함해 노동계의